기록적인 폭우에, 서울 곳곳에서 물난리가 발생한 가운데 올해 서울시의 수해방지 예산이 큰 폭으로 줄어 피해가 컸다는 비판이 제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가 해명 과정에서 시의회의 예산 삭감 탓을 했는데, 맞는 말인지 따져봤습니다. <br /> <br />팩트와이, 박희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 수해 발생 이튿날. <br /> <br />서울시가 수해방지 예산을 줄여 피해를 키웠다는 언론보도가 쏟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는 신속하게 보도자료를 내 해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민주당이 절대다수를 차지한 시의회가 정치적인 이유로 시가 제출한 수해방지 예산을 250억 원 가까이 삭감했다는 내용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말, 서울시의회 예산안 회의. <br /> <br />수해방지 관련 예산을 심의하는 자리에서 의원의 질타가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가 의회에 제출한 수해방지 관련 예산안 원안의 규모가 한 해 전보다 크게 줄어서였습니다. <br /> <br />[홍성룡 / 당시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위원 (지난해 11월) : 우리 내년도 세출예산액을 보니까 475억 3,400만 원이 감소했어요. 이게 물순환안전국이라고 할 수가, 좀 불안하지 않습니까? '안전'을 빼야 할 것 같은데, 이렇게 안전을 소홀히 해도 될까요?] <br /> <br />[한유석 /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장(지난해 11월) : 실링이(예산 한도가) 대부분 실ㆍ국ㆍ본부로 할당돼서 실링 범위 내에서 예산 작업이 이루어지다 보니까…. 실링 범위를 우리가 좀 많이 극복해야 하는데, 극복 못 한 부분이 없지 않아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시의회의 예산안 심의 과정에서 삭감됐다는, 248억 원의 내역을 확보해 살펴봤습니다. <br /> <br />하수관로 신설과 개량, 정비 등에 대한 사업비였는데, <br /> <br />당장 필요하지 않은 사업비를 줄여야 한다는 의회의 요구에 따라 서울시는 후순위 사업을 선정하고 예산 삭감 계획을 마련해 의회에 전달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시의회는 해당 예산을 갑작스러운 수해 상황 같은 자금 투입이 시급한 사업 등을 위한 예비자금으로 돌리려 했지만, 시의 반대로 무산됐습니다. <br /> <br />[김호평 / 당시 서울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장 : 회전기금을(예비비를) 증액하는데 부동의를 했고요. (그럼) 금액만큼 다시 하수관거 (사업)에 대해 복원을 해야 하는 거 아니냐고 예결위에서 문의했을 때 / (서울시에서) 시급성이 없기 때문에 당장 복원할 필요는 없다고 (했습니다.)] <br /> <br />서울시가 시의회에 제출한 예산안 원안의 규모 자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희재 (parkhj0221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812051726459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